30년 이상 된 구축 오브 구축 아파트
올리모델링을 계획하다 보니
견적이 장난이 아니네요.
자재에 욕심을 버렸다 해도
기본적인 수리비가...ㅠㅠ
수리 전 저희 집 주방은 이런 상태였어요.
주인분이 깔끔하게 쓰신 편이었지만,
앞으로 5년~10년 오래오래
살 집이다 보니
올수리 하는 김에 싱크대까지
바꾸기로 결심했어요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0n0nK/btqDyNbIiuA/xwUHXWY3SgaWrZLMno2wZK/img.jpg)
견적을 최대한 낮추고자
책도 읽고 유투브도
많이 참고해 봤는데,
맞벌이 부부이다 보니,
돌고돌아, 결국엔
턴키 인테리어 업체와 계약하고
싱크대, 붙박이장만
따로 업체를 선정하게 됐어요.
고생한 것도 아깝고 ㅠ_ㅠ
리모델링을 준비하는 다른 분들에게도
도움이 되면 좋겠다 싶어서!
제가 싱크대 업체를 선정하고
시공하기까지의 후기를
자세히 다루어 볼게요. : D
주방 리모델링 준비 (1)
구조, 자재, 가격대
주방 리모델링을 결심했다면,
가장 먼저해야 할 일은
싱크대를 어떤 구조로 설치할 것이고,
자재는 어떤 것을 쓸 것인지
정해야 하는 거였어요.
기본적인 스펙도 정하지 않고
제각기 다른 스펙의 견적들을
기준 없이 비교하게 되면
결국 두 번 일을 하게 되니,
기본적인 주방 구조, 스펙 정도는
반드시 먼저 결정하세요!
사전 준비 STEP 1
구조 결정하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wJH7j/btqDx5RnmUz/KFib9RbrVRCHBxxf5ZgJDK/img.jpg)
체크 포인트
▣ 총 길이는?
2.4m ~
▣ 구조는 어떻게?
1자형 / ㄱ자 / ㄷ자 등등
▣ 상부장/하부장은 어떻게?
상부장, 하부장 / 하부장만
▣ 추가 구성은 어떻게?
냉장고장 / 키큰장 / 아일랜드 식탁
원룸형 주방이 아닌 이상,
보통 17평~20평대 주방은
기본으로 2.4m 이상이 되더라고요.
저희 집 구조, 제 취향에 맞게
결정한 저희 주방의 스펙은
아래와 같았어요.
2.4m / 1자형 / 상부장 + 하부장 / 추가구성 無
나중에 실측 받는 과정에서
주방 바닥의 호스..?인지 뭔지 모를
구조물 위치 때문에
길이를 2.6m로 연장하긴 했지만요. ㅎㅎ
사전 준비 STEP 2
자재 결정하기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t09OY/btqDxK7I6p9/tioveYa3I0ktGHYFRBX1fk/img.jpg)
주방가구 자재를 비교할 때는
아래 두 가지 요소 정도만 고려했어요.
상판
* 강화천연석 > 인조대리석 > PT
마감재
* PET > LPM > 필름
* 원목 > 친환경 MDF > MDF > PB
[여러 업체의 견적을 비교해 보니,
대부분이 몸통은 PB, 문짝은 MDF를
이용하더라고요.]
상판 중 PT 소재는 너무 싸 보이고,
인조대리석이 크게 비싸지 않으니
임대용 주택의 주방 리모델링이 아니라
자가 실거주 주방 리모델링이라면
인조대리석 이상을 선택하시면
될 것 같아요!
참고로, PET와 LPM의 견적 차이는
2.4m 기준으로
30만원 이상 차이가
나는 것 같았어요. : )
어쩌다 보니
싱크대 업체만 며칠 동안
서칭하게 됐는데...
시간 들여 공부하고 서칭해서
업체까지 선정하고 나니
굉장히 뿌듯하네요. ㅎㅎ
다음 포스팅부터는
브랜드 싱크대, 온라인 업체, 공장 싱크대의
견적을 비교한 후기를 올려볼게요! ^0^
'인테리어 > 구축 아파트 올수리 후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구축 아파트 올리모델링] 주방 리모델링 (1년 사용 후기) (1) | 2021.09.14 |
---|---|
[구축 아파트 올리모델링] 주방 리모델링 준비 (3) 업체 견적 비교표 공개 (41) | 2020.04.24 |
[구축 아파트 올리모델링] 주방 리모델링 준비 (2) 업체 견적 비교 노하우 (30) | 2020.04.22 |
댓글